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잼뚜껑 유리병 안열릴 때 해결방법 알려드려요
    생활정보 2024. 8. 19. 18:12
    반응형

     

     

    가끔씩 유리병의 플라스틱 뚜껑이 너무 꽉 닫혀서 아무리 힘을 써도 열리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힘만으로 해결하려고 하기보다, 몇 가지 간단한 팁을 활용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힘을 너무 많이 주면 손이나 손목이 다칠 수도 있고, 오히려 뚜껑이 더 단단히 닫히기도 하니까요. 그래서 오늘은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유리병 뚜껑 여는 방법 5가지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이 방법들은 별다른 도구 없이도 효과적으로 뚜껑을 열 수 있는 팁들이니, 다음에 뚜껑이 잘 열리지 않을 때 활용해보세요.

     

    1. 뜨거운 물 사용하기

    뚜껑이 단단히 잠겨서 열리지 않을 때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바로 뜨거운 물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유리병과 플라스틱 뚜껑은 열에 의해 미세한 변형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 원리를 활용하는 것이죠. 방법은 간단합니다. 뚜껑 부분만 뜨거운 물에 1~2분 정도 담가둡니다. 뜨거운 물에 잠기면서 플라스틱 뚜껑이 조금씩 팽창하게 되고, 그 결과 뚜껑을 돌릴 때 덜 힘들게 열 수 있게 됩니다. 물에서 꺼낸 후 마른 수건으로 뚜껑을 잡고 돌리면 더욱 쉽게 열립니다.

     

    2. 고무장갑 활용하기

    고무장갑은 주방에서 매우 유용한 도구인데요, 특히 마찰력이 필요한 작업에 효과적입니다. 고무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병의 뚜껑을 돌리면 손과 뚜껑 사이에 마찰이 증가하여 훨씬 적은 힘으로도 뚜껑을 열 수 있습니다. 고무장갑의 표면이 미끄럼을 방지해 주기 때문에 손이 젖어 있거나 표면이 미끄러운 상태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물리적인 힘을 사용할 때도 이 방법을 쓰면 의외로 쉽게 뚜껑을 열 수 있습니다.

     

     

    3. 숟가락과 나이프 활용하기

    뚜껑과 병 사이의 공기 압력이 병을 여는 데 방해가 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숟가락이나 나이프 같은 날카롭지 않은 도구를 사용해서 공기 압력을 낮춰보세요. 먼저 숟가락이나 나이프의 끝부분을 뚜껑과 병 사이 틈에 조심스럽게 넣습니다. 그런 다음 살짝 비틀어서 공기가 들어가게 해주면 압력이 풀리면서 뚜껑이 쉽게 돌아갈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특히 진공 상태로 밀봉된 병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병 오프너 사용하기

    가장 전문적인 방법으로는 병 오프너를 사용하는 것이 있습니다. 병 오프너는 말 그대로 병의 뚜껑을 열기 위해 고안된 도구이므로, 최소한의 힘으로 뚜껑을 열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인 병 오프너는 병의 뚜껑에 맞게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도 편리하고, 특히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아 좋습니다. 다만 병 오프너가 뚜껑의 크기나 형태에 맞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자주 쓰는 병이 있다면 그에 맞는 병 오프너를 구비해두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5. 냉장고에 넣어두기

    뚜껑이 너무 꽉 닫혀 있어 다른 방법들이 효과가 없을 때는, 냉장고에 잠시 넣어두는 방법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병 속의 공기와 액체가 차가워지면서 수축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인데요, 약 15분 정도 냉장고에 넣어둔 후에 꺼내서 다시 시도해보세요. 뚜껑을 열 때는 마른 수건을 사용하면 더 쉽게 열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특히 플라스틱 뚜껑보다 유리병의 뚜껑이 더 단단하게 잠겨 있을 때 효과가 좋습니다.



    유리병의 플라스틱 뚜껑이 너무 꽉 잠겨 열리지 않을 때 사용할 수 있는 5가지 방법을 소개해드렸습니다. 뜨거운 물을 사용하는 방법부터 고무장갑, 숟가락과 나이프, 병 오프너, 냉장고에 넣어두기까지, 각 방법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편리한 방법을 선택하여 다음 번에 뚜껑이 열리지 않을 때 시도해보세요. 번거롭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인 방법들이니, 집에서 쉽게 해결할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